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6년에 창설되어,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 소속된 우간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한 적이 없으나, 2018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CECAFA컵에서 15번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폴 풋이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The Cranes (두루미) |
협회 | 우간다 축구 연맹 (FUFA) |
하위 연맹 | CECAFA (동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
웹사이트 | 우간다 축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감독 | 폴 푸트 |
주장 | 칼리드 아우초 |
최다 출장 선수 | 고드프리 왈루심비 (105) |
최다 득점 선수 | 에마뉘엘 오크위 (28) |
홈 경기장 | 만델라 국립 경기장 |
FIFA 트리그램 | UGA |
FIFA 최고 랭킹 | 62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6년 1월 |
FIFA 최저 랭킹 | 152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2년 7월 |
Elo 최고 랭킹 | 40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78년 3월 |
Elo 최저 랭킹 | 129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05년 6월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uga19t pattern_b1: _uga19t pattern_ra1: _uga19t leftarm1: FFFF00 body1: FFFF00 rightarm1: FFFF00 shorts1: FFFF00 socks1: FFFF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uga19h pattern_b2: _uga19h pattern_ra2: _uga19h pattern_sh2: _uga19h pattern_so2: _uga19h leftarm2: FF0000 body2: FF0000 rightarm2: FF0000 shorts2: "000000" socks2: FF0000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la3: _uga19a pattern_b3: _uga19a pattern_ra3: _uga19a pattern_sh3: _uga19a pattern_so3: _uga19a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socks3: FFFFFF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1–1 (Nairobi, Kenya; 1926년 5월 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13–1 (Uganda; 1932년 (날짜 미상)) |
최다 점수차 패배 | 6–0 (알렉산드리아, Egypt; 1995년 7월 30일) 6–0 (Tunis, Tunisia; 1999년 2월 28일) |
지역 컵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출전 횟수 | 8 |
첫 출전 | 1962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78년) |
두 번째 대회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두 번째 대회 출전 횟수 | 6 |
두 번째 대회 첫 출전 | 2011년 |
두 번째 대회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11년, 2014년, 2016년, 2018년, 2020년, 2022년) |
세 번째 대회 이름 | COSAFA Cup |
세 번째 대회 출전 횟수 | 1 |
세 번째 대회 첫 출전 | 2019년 |
세 번째 대회 최고 성적 | 8강 (2019년) |
네 번째 대회 이름 | CECAFA Cup |
네 번째 대회 출전 횟수 | 81 |
네 번째 대회 첫 출전 | 1926년 |
네 번째 대회 최고 성적 | 우승 (1928, 1929, 1930, 1932, 1935, 1936, 1937, 1938, 1939, 1940, 1943, 1945, 1947, 1948, 1952, 1954, 1955, 1956, 1957, 1962, 1963, 1968, 1969, 1970, 1973, 1976, 1977, 1989, 1990, 1992, 1996, 2000, 2003, 2008, 2009, 2011, 2012, 2015, 2019) |
2. 역사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6년 5월 1일 케냐와의 데뷔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96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처음 출전했으나, 준결승에서 아랍 연합 공화국에 2-1로 패하고, 3-4위전에서 튀니지에 3-0으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이집트, 잠비아에 패하고 코트디부아르와 비기며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1976년 대회에서도 에티오피아, 이집트, 기니에 패하며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조별 예선에서 콩고 (3-1)와 모로코 (3-0)를 꺾고 튀니지에 3-1로 패하여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나이지리아를 2-1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가나에 2-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가나와 이집트에 각각 1-0으로 패하고, 말리와 1-1로 비기며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토고를 합계 4-0으로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이집트, 가나, 콩고 공화국과 같은 조에 편성되어 가나와 두 번의 무승부(0-0), 콩고 공화국에 1승 1무, 이집트에 1승 1패를 기록했으나, 승점 9점으로 조 2위에 그쳐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탄자니아, 카보베르데, 레소토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DR 콩고를 2-0으로 꺾으며 41년 만에 대회 첫 승을 거두었으나, 짐바브웨와 비기고(1-1) 이집트에 패하며(2-0)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세네갈에 1-0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2024년 11월 14일, 남수단이 콩고를 3-2로 꺾으면서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2. 1. 대한민국과의 관계
3. 대회 기록
3. 1. FIFA 월드컵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201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에서 토고를 상대로 2연승을 거두며 우간다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최종 예선에서는 2승 3무 1패, E조 2위의 성적을 기록하며 우간다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불참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예선 탈락 | ||||||||
1982년 | 기권 | ||||||||
1986년 | 예선 탈락 | ||||||||
1990년 | |||||||||
1994년 | 기권 | ||||||||
1998년 | 예선 탈락 | ||||||||
2002년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합계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불참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2 | 1 | 0 | 1 | 3 | 4 | 3 | ||
1982년 | 기권 | ||||||||
1986년 | 2 | 1 | 0 | 1 | 1 | 3 | 3 | ||
1990년 | 2 | 1 | 0 | 1 | 2 | 3 | 3 | ||
1994년 | 기권 | ||||||||
1998년 | 2 | 0 | 0 | 2 | 1 | 5 | 0 | ||
2002년 | 2 | 0 | 1 | 1 | 4 | 7 | 1 | ||
2006년 | 12 | 3 | 2 | 7 | 10 | 18 | 11 | ||
2010년 | 6 | 3 | 1 | 2 | 8 | 9 | 10 | ||
2014년 | 6 | 2 | 2 | 2 | 5 | 6 | 8 | ||
2018년 | 8 | 4 | 3 | 1 | 7 | 2 | 15 | ||
합계 | 42 | 15 | 9 | 18 | 41 | 57 | 54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18위 (아프리카 25위) |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7번 출전했다.[10] 1978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10]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7년 | 독립 이전 | ||||||||
1959년 | |||||||||
1962년 | 4강 | 4위 | 2 | 0 | 0 | 2 | 1 | 5 | 0 |
1963년 | 기권 | ||||||||
1965년 | 예선 탈락 | ||||||||
1968년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8 | 0 |
1970년 | 예선 탈락 | ||||||||
1972년 | |||||||||
1974년 | 조별리그 | 6위 | 3 | 0 | 1 | 2 | 3 | 5 | 1 |
1976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2 | 6 | 0 |
1978년 | 준우승 | 2위 | 5 | 3 | 0 | 2 | 9 | 7 | 9 |
1980년 | 기권 | ||||||||
1982년 | |||||||||
1984년 | 예선 탈락 | ||||||||
1986년 | |||||||||
1988년 | |||||||||
1990년 | 기권 | ||||||||
1992년 | 예선 탈락 | ||||||||
1994년 | |||||||||
1996년 | |||||||||
1998년 | |||||||||
2000년 | |||||||||
2002년 | |||||||||
2004년 | |||||||||
2006년 | |||||||||
2008년 | |||||||||
2010년 | |||||||||
2012년 | |||||||||
2013년 | |||||||||
2015년 | |||||||||
2017년 | 조별리그 | 13위 | 3 | 0 | 1 | 2 | 1 | 3 | 1 |
2019년 | 16강 | 15위 | 4 | 1 | 1 | 2 | 3 | 4 | 4 |
2021년 | 예선 탈락 | ||||||||
총계 | 6회 진출(6/30[10]) | 준우승(1회) | 23 | 4 | 3 | 16 | 21 | 38 | 15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24위 |
3. 3.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 5번 출전했다. 2014년 대회 B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부르키나파소를 2-1로 꺾고 대회 통산 첫 승을 올렸으나, 4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마셨다.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2009 | 예선 탈락 | ||||||||
2011 | 조별 리그 | 15위 | 3 | 0 | 0 | 3 | 1 | 5 | |
2014 | 12위 | 3 | 1 | 1 | 1 | 3 | 4 | ||
2016 | 12위 | 3 | 0 | 2 | 1 | 3 | 4 | ||
2018 | 12위 | 3 | 0 | 1 | 2 | 1 | 4 | ||
2020 | 14위 | 3 | 0 | 1 | 2 | 3 | 7 | ||
2022 | 11위 | 3 | 1 | 1 | 1 | 2 | 3 | ||
2024 |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 ||||||||
합계 | 18 | 2 | 6 | 10 | 13 | 27 |
3. 4. 기타 국제 대회
1989년 피스 앤 프렌드십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고 세카파컵에서는 39번의 대회 중 무려 14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이 대회 최다 우승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준우승도 B팀을 포함해 5번 차지하면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남겼다.연도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5 | 6위 | 5 | 1 | 1 | 3 | 10 | 14 |
1973–1987 | 불참 | ||||||
합계 | - | 5 | 1 | 1 | 3 | 10 | 14 |
CECAFA컵 – ''' 금메달''' 15회
CECAFA컵 – ''' 은메달''' 5회
CECAFA컵 – ''' 동메달''' 7회
연도 | 라운드 |
---|---|
1989년 평화와 우정컵 | 준우승 |
1962년 우간다 독립 토너먼트 | 준우승 |
4. 선수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1월 15일과 19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콩고와의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4]
''출전 횟수와 골 수는 2024년 11월 1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 이후 기준이다.''[4]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횟수 | 골 | 현재 소속팀 |
---|---|---|---|---|---|
GK | 이스마일 와텐가 | 1995년 5월 15일 | 34 | 0 | 라몬트빌 골든 애로우즈 FC영어 |
GK | 찰스 루크와고 | 1993년 12월 11일 | 24 | 0 | 벤다 FC영어 |
GK | 나피안 알리온지 | 1996년 3월 1일 | 6 | 0 | 국방군 SC영어 |
GK | 무트왈리비 무골로파 | 2000년 11월 2일 | 0 | 0 | 캄팔라 수도 도시 당국 FC영어 |
DF | 아이작 물레메 | 1992년 10월 10일 | 51 | 0 | FK 빅토리아 지슈코프cs |
DF | 티모시 아와니 | 1996년 8월 6일 | 45 | 0 | FC 아슈도드he |
DF | 할리드 왈리와 | 1998년 8월 19일 | 38 | 1 | FK 브레갈니차 슈티프mk |
DF | 아지즈 카욘도 | 2002년 10월 6일 | 26 | 2 | FC 슬로반 리베레츠cs |
DF | 베비스 무가비 | 1995년 5월 1일 | 25 | 1 | 마더웰 FC영어 |
DF | 케네스 세마쿨라 | 2002년 11월 14일 | 22 | 0 | SC 빌라 |
DF | 개빈 키지토 | 2002년 1월 14일 | 12 | 0 | SC 빌라 |
DF | 제프리 왓스와 | 1996년 8월 23일 | 3 | 0 | 에티오피아 커피 SC영어 |
MF | 할리드 아우초 | 1993년 8월 8일 | 75 | 2 | 영 아프리칸스 SC영어 |
MF | 앨런 오켈로 | 2000년 7월 4일 | 28 | 3 | 바이퍼스 SC |
MF | 타데오 르완가 | 1994년 5월 21일 | 27 | 1 | APR FCrw |
MF | 보보시 바야루항가 | 2001년 12월 3일 | 25 | 0 | 오스틴 FC영어 |
MF | 트래비스 무티아바 | 2005년 8월 7일 | 22 | 2 | 지롱댕 드 보르도프랑스어 |
MF | 세키간다 로날드 | 1995년 9월 13일 | 8 | 1 | SC 빌라 |
MF | 사이다 마얀자 | 2003년 8월 12일 | 0 | 0 | 캄팔라 수도 도시 당국 FC영어 |
FW | 로저스 마토 | 1998년 10월 20일 | 30 | 4 | FC AP 브레라영어 |
FW | 데릭 은시밤비 | 1994년 6월 19일 | 26 | 7 | 캄팔라 수도 도시 당국 FC영어 |
FW | 스티븐 무쿠왈라 | 1999년 7월 15일 | 20 | 1 | 아산테 코토코 SC영어 |
FW | 데니스 오메디 | 1996년 6월 13일 | 11 | 2 | 키타라 FC |
FW | 주드 셈구비 | 1997년 3월 3일 | 4 | 1 | 키타라 FC |
FW | 하킴 키와누카 | 2000년 9월 11일 | 2 | 0 | SC 빌라 |
FW | 존 폴 뎀베 | 2005년 7월 3일 | 0 | 0 | BK 헤켄sv |
FW | 캘빈 카부예 | 2003년 3월 28일 | 0 | 0 | 산드비켄스 IFsv |
FW | 샤피크 나나 퀴키리자 | 2004년 3월 3일 | 0 | 0 | 캄팔라 수도 도시 당국 FC영어 |
'''주요 선수'''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데니스 오냥고, 마이클 아지라, 하산 와스와, 니컬러스 와다다, 조지프 오차야, 칼리드 아우초, 루와가 키지초, 이매뉴얼 오퀴, 무루시드 주코, 아이잭 물레메, 티머시 아와니, 로버트 오동카라, 고드프리 왈루심비, 데니스 이구마, 파루크 미야, 무자미르 무티아바 등이 있다.[5]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활동 기간 |
---|---|---|---|---|
1 | 고드프리 왈루심비 | 105 | 3 | 2009–2019 |
2 | 에마뉘엘 오크위 | 95 | 28 | 2009–2023 |
3 | 시메온 마사바 | 88 | 6 | 2002–2013 |
4 | 토니 마웨제 | 86 | 8 | 2003–2018 |
5 | 데니스 오냐고 | 82 | 0 | 2005–2021 |
6 | 하산 와스와 | 81 | 0 | 2006–2019 |
7 | 파루크 미야 | 79 | 23 | 2014–현재 |
8 | 칼리드 아우초 | 76 | 2 | 2013–현재 |
9 | 앤드루 므웨시그와 | 75 | 7 | 2003–2014 |
10 | 제프리 마사 | 72 | 22 | 2005–2017 |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득점 비율 | 활동 기간 |
---|---|---|---|---|---|
1 | 에마뉘엘 오크위 | 28 | 95 | 0.29 | 2009–2023 |
2 | 파루크 미야 | 23 | 79 | 0.29 | 2014–현재 |
3 | 제프리 마사 | 22 | 72 | 0.31 | 2005–2017 |
4 | 마지드 무시시 | 20 | 29 | 0.69 | 1987–2000 |
5 | 하산 무비루 | 18 | 63 | 0.29 | 1998–2007 |
6 | 데이비드 오브아 | 16 | 36 | 0.44 | 2003–2011 |
7 | 제프리 세룬쿠마 | 14 | 54 | 0.26 | 2002–2017 |
8 | 브라이언 우모니 | 12 | 36 | 0.33 | 2009–2015 |
9 | 잭슨 마야냐 | 10 | 27 | 0.37 | 1988–1999 |
10 | 패트릭 카두 | 9 | 21 | 0.43 | 2018–2022 |
파하드 바요 | 9 | 29 | 0.31 | 2018–현재 | |
필립 오브위니 | 9 | 48 | 0.19 | 1994–2003 | |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1월 15일과 19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콩고와의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4]''출전 횟수와 골 수는 2024년 11월 1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 이후 기준이다.''[4]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횟수 | 골 | 현재 소속팀 |
---|---|---|---|---|---|
GK | 이스마일 와텐가 | 1995년 5월 15일 | 34 | 0 | 라몬트빌 골든 애로우즈영어 |
GK | 찰스 루크와고 | 1993년 12월 11일 | 24 | 0 | 벤다영어 |
GK | 나피안 알리온지 | 1996년 3월 1일 | 6 | 0 | 국방군영어 |
GK | 무트왈리비 무골로파 | 2000년 11월 2일 | 0 | 0 | KCCA영어 |
DF | 아이작 물레메 | 1992년 10월 10일 | 51 | 0 | 빅토리아 지슈코프cs |
DF | 티모시 아와니 | 1996년 8월 6일 | 45 | 0 | 아슈도드he |
DF | 할리드 왈리와 | 1998년 8월 19일 | 38 | 1 | 브레갈니차mk |
DF | 아지즈 카욘도 | 2002년 10월 6일 | 26 | 2 | 슬로반 리베레츠cs |
DF | 베비스 무가비 | 1995년 5월 1일 | 25 | 1 | 마더웰영어 |
DF | 케네스 세마쿨라 | 2002년 11월 14일 | 22 | 0 | SC 빌라 |
DF | 개빈 키지토 | 2002년 1월 14일 | 12 | 0 | SC 빌라 |
DF | 제프리 왓스와 | 1996년 8월 23일 | 3 | 0 | 에티오피아 커피영어 |
MF | 할리드 아우초 | 1993년 8월 8일 | 75 | 2 | 영 아프리칸스영어 |
MF | 앨런 오켈로 | 2000년 7월 4일 | 28 | 3 | 바이퍼스 SC |
MF | 타데오 르완가 | 1994년 5월 21일 | 27 | 1 | APRrw |
MF | 보보시 바야루항가 | 2001년 12월 3일 | 25 | 0 | 오스틴영어 |
MF | 트래비스 무티아바 | 2005년 8월 7일 | 22 | 2 | 보르도프랑스어 |
MF | 세키간다 로날드 | 1995년 9월 13일 | 8 | 1 | SC 빌라 |
MF | 사이다 마얀자 | 2003년 8월 12일 | 0 | 0 | KCCA영어 |
FW | 로저스 마토 | 1998년 10월 20일 | 30 | 4 | AP 브레라영어 |
FW | 데릭 은시밤비 | 1994년 6월 19일 | 26 | 7 | KCCA영어 |
FW | 스티븐 무쿠왈라 | 1999년 7월 15일 | 20 | 1 | 아산테 코토코영어 |
FW | 데니스 오메디 | 1996년 6월 13일 | 11 | 2 | 키타라 FC |
FW | 주드 셈구비 | 1997년 3월 3일 | 4 | 1 | 키타라 FC |
FW | 하킴 키와누카 | 2000년 9월 11일 | 2 | 0 | SC 빌라 |
FW | 존 폴 뎀베 | 2005년 7월 3일 | 0 | 0 | 헤켄sv |
FW | 캘빈 카부예 | 2003년 3월 28일 | 0 | 0 | 산드비켄스sv |
FW | 샤피크 나나 퀴키리자 | 2004년 3월 3일 | 0 | 0 | KCCA영어 |
4. 2. 주요 선수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데니스 오냥고, 마이클 아지라, 하산 와스와, 니컬러스 와다다, 조지프 오차야, 칼리드 아우초, 루와가 키지초, 이매뉴얼 오퀴, 무루시드 주코, 아이잭 물레메, 티머시 아와니, 로버트 오동카라, 고프리 왈루심비, 데니스 이구마, 파루크 미야, 무자미르 무티아바 등이 있다.[5]순위 | 선수 | 출장 | 골 | 활동 기간 |
---|---|---|---|---|
1 | 고드프리 왈루심비 | 105 | 3 | 2009–2019 |
2 | 에마뉘엘 오크위 | 95 | 28 | 2009–2023 |
3 | 시메온 마사바 | 88 | 6 | 2002–2013 |
4 | 토니 마웨제 | 86 | 8 | 2003–2018 |
5 | 데니스 오냐고 | 82 | 0 | 2005–2021 |
6 | 하산 와스와 | 81 | 0 | 2006–2019 |
7 | 파루크 미야 | 79 | 23 | 2014–현재 |
8 | 칼리드 아우초 | 76 | 2 | 2013–현재 |
9 | 앤드루 므웨시그와 | 75 | 7 | 2003–2014 |
10 | 제프리 마사 | 72 | 22 | 2005–2017 |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득점 비율 | 활동 기간 |
---|---|---|---|---|---|
1 | 에마뉘엘 오크위 | 28 | 95 | 0.29 | 2009–2023 |
2 | 파루크 미야 | 23 | 79 | 0.29 | 2014–현재 |
3 | 제프리 마사 | 22 | 72 | 0.31 | 2005–2017 |
4 | 마지드 무시시 | 20 | 29 | 0.69 | 1987–2000 |
5 | 하산 무비루 | 18 | 63 | 0.29 | 1998–2007 |
6 | 데이비드 오브아 | 16 | 36 | 0.44 | 2003–2011 |
7 | 제프리 세룬쿠마 | 14 | 54 | 0.26 | 2002–2017 |
8 | 브라이언 우모니 | 12 | 36 | 0.33 | 2009–2015 |
9 | 잭슨 마야냐 | 10 | 27 | 0.37 | 1988–1999 |
10 | 패트릭 카두 | 9 | 21 | 0.43 | 2018–2022 |
파하드 바요 | 9 | 29 | 0.31 | 2018–현재 | |
필립 오브위니 | 9 | 48 | 0.19 | 1994–2003 | |
5. 감독
직책 | 스태프 |
---|---|
감독 | 폴 풋 |
수석 코치 | 샘 심브와 |
경기력 관리자 | 스벤 드 빌데 |
골키퍼 코치 | 게리 오스테 |
피지컬 코치 | 마티유 데니스 |
물리 치료사 및 피트니스 코치 | 아서 노츠 |
비디오 분석관 | 옐레 세벤한트 |
팀 닥터 | 아르노 데프라에테레 |
5. 1. 현재 감독
직책 | 스태프 |
---|---|
감독 | 폴 풋 |
수석 코치 | 샘 심브와 |
경기력 관리자 | 스벤 드 빌데 |
골키퍼 코치 | 게리 오스테 |
피지컬 코치 | 마티유 데니스 |
물리 치료사 및 피트니스 코치 | 아서 노츠 |
비디오 분석관 | 옐레 세벤한트 |
팀 닥터 | 아르노 데프라에테레 |
5. 2. 역대 감독
- 앨런 로저스 (1965–1966)
- 로버트 키베루 (1960년대–1969)
- 부르크하르트 파페 (1969–1972)
- 데이비드 오티 (1973–1974)
- 오토 웨스터호프 (1974–1975)
- 피터 오키 (1976–1981)
- 자베리 비단디 살리 (1982)
- 피터 오키 (1983)
- 조지 무카사 (1984–1985)
- 바르나바스 므웨시가 (1986–1988)
- 로버트 키베루 (1988–1989)
- 폴리 오우마 (1989–1995)
- 티모시 아이에코 (1995–1996)
- 아수만 루보와 (1996–1999)
- 폴 하술레 (1999)
- 해리슨 오카그부에 (1999–2001)
- 폴 하술레 (2001–2003)
- 페드로 파스쿨리 (2003)
- 레오 아드라아 (2003–2004)
- 마이크 무테비 (2004)
- 모하메드 아바스 (2004–2006)
- 차바 라슬로 (2006–2008)
- 바비 윌리엄슨 (2008–2013)
- 밀루틴 스레도예비치 (2013–2017)
- ''모세스 바세나'' and ''프레드 카조바'' (2017)
- 세바스티앙 데사브레 (2017–2019)
- ''압달라 무비루'' (2019)
- 조니 맥킨스트리 (2019–2021)
- ''압달라 무비루'' (2021)
- 밀루틴 스레도예비치 (2021–2023)
- ''몰리 베예콰소'' (2023)
- 폴 풋 (2023-현재)
참조
[1]
뉴스
Rise and fall of Cranes coaches
http://www.observer.[...]
2009-05-25
[2]
웹사이트
Rise and fall of Uganda Cranes tacticians
http://soccer256.com[...]
2011-07-29
[3]
웹사이트
Johnny McKinstry unveiled as Uganda Cranes coach
http://www.newvision[...]
2019-12-30
[4]
웹사이트
Coach Paul Put summons squad for South Africa, Congo games
https://www.fufa.co.[...]
Federation of Uganda Football Associations
2024-11-06
[5]
웹사이트
Uganda
https://www.national[...]
2022-06-14
[6]
웹사이트
FIFA Tournaments – Compare Teams – FIFA.com
https://www.fifa.com[...]
2018-05-31
[7]
웹사이트
Uganda
https://www.worldfoo[...]
2021-03-29
[8]
웹사이트
Uganda - Historical results
https://www.worldfoo[...]
2021-03-29
[9]
뉴스
Rise and fall of Cranes coaches
http://www.observer.[...]
2019-12-15
[10]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